사성/컬럼 국가(國家) 방재(防災) 시스템 정비! 이래도 되나?
환경부는 관계부처 합동으로 ‘제3차 국가 기후위기 적응 강화대책(2023.6.22.)’을 마련하고 ‘2050 탄소중립녹색성장위원회’ 제4차 전체회의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했다고 밝혔다. 정부가 인공지능(AI) 홍수예보 시스템을 도입해 기후재난 사전 예·경보를 기존 3시간 전에서 6시간 전으로 앞당기기로 하였다는 것이 주요 내용이다. 국가방재 시스템을 정비해야 한다는 말은 어제오늘의 말이 아니다. 이 말은 그 근본은 민본·애민사상으로부터 발로된 것임을 밝히고 싶다. 즉, 그 근본사상은 ‘인권존중과 민본의식으로, 개혁을 통한 백성의 불편과 고통 해소를 목표’로 하고 있는 것이다. 국토의 곳곳을 물바다로 만들고 전국적으로 많은 인명피해를 가져 온 이번 폭우사태는 단순한 자연재해가 아니라 사실상의 인재(人災)라고 할 정도의 예상 밖의 큰 인명피해가 나고 도시 기능도 마비되어 버렸다. 안전이란 무엇인가! 시경의 첫구절 <토원(兔爰)>이란 시를 보자, “동쪽 하늘 컴컴한데, 토끼 한 마리 여유있게 껑충껑충 뛰어 노는데, 꿩 한 마리 안타깝게 그물에 걸렸구나, 내 어릴 적엔 평화롭더니 어느새 나라에는 온갖 난리가 휩싸였네. 차라리 죽어 깊은 잠에 빠져들면 좋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