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연합뉴스 김태연 기자 | 서울 중구가 지난 5월 23일과 24일에 개최한 ‘2025 정동야행’이, 13만 3천여 명의 발걸음을 이끌며 또다시 그 인기를 입증했다. 고궁과 근대문화유산이 어우러진 정동 일대가 외국인 관광객은 물론 가족, 연인, 친구 등 봄밤을 즐기려는 인파로 북적였다.
지난 23일 저녁 6시 50분, 덕수궁 중화전 앞. 고궁을 배경 삼아 열린 개막공연은 축제의 품격을 단숨에 끌어올렸다. 중구 홍보대사 다니엘 린데만의 감각적인 밴드 연주와 싱어송라이터 선우정아의 목소리가 정동의 밤공기를 감성으로 채웠다. 개막식에는 ‘정동의 이웃’인 콜린 크룩스 주한영국대사도 무대에 올라 따뜻한 축사를 전하며 축제의 분위기를 더했다. 김길성 중구청장과 ‘우리의 미래’인 어린이가 함께 축제의 개막을 알리는 선언을 하며 본격적인 축제의 막이 올랐다.
올해 축제는 ‘정동의 빛, 미래를 수놓다’라는 주제답게 정동 구석구석까지 빛으로 물들였다. 개방시설 곳곳에 올해 축제 주제의 의미를 담은 메시지 보드를 비치하고, 프로그램도 다양하게 구성했다. 덕수궁 돌담길을 따라 빛나는 청사초롱 등불이 방문객을 맞았다. 돌담길에는 중구 15개 동 주민이 직접 작성한 미래소망을 담아 만든 ‘중구를 수놓은 빛의 지도’와 ‘정동을 그리다’ 그림 공모전에 출품된 530여 점의 작품이 전시됐다. 중구 대표 도시산업의 특색을 살린 을지로라이트웨이 조명 포토존은 추억을 남기려는 연인과 가족, 친구들로 긴 줄이 이어졌다.
배재학당역사박물관의 외벽은 빛으로 물들었다. 미디어파사드 음악회인‘정동연회’ 는 금요일 밤 8시와 9시에 역사를 품은 배재학당역사박물관의 붉은 벽돌의 시간을 빛으로 깨웠다.
전통과 현대를 오가는 고품격 연주도 곳곳에서 열렸다. 정동제일교회 오르간과 사중창단 공연, 시온금관 5중주 공연은 정동 한복판을 품격있는 공연장으로 바꿔놓았다. 또한 성공회 서울주교좌성당 파이프오르간, 구세군역사박물관 앞 구세군브라스밴드 공연은 평소 접하기 어려운 악기 연주로 특별한 감동을 선사했다. 국토발전전시관에서는 오페라움의 ‘정동아리아, 빛에 머물다’가, 중명전에서는 ‘매직 저글링 퍼포먼스’와 ‘해금공연’이 큰 호응을 얻으며 많은 방문객이 몰렸다. 정동공원에서는 거리공연이 펼쳐지는 등 정동 전체가 예술 무대가 됐다.
역사적 의미도 놓치지 않았다. 정동은 개화기 서양 문명이 스며들던 관문이었다. 배재학당과 이화학당, 정동제일교회 등 우리나라 ‘최초’의 서양식 교육기관과 종교시설이 이곳에서 문을 열었다. 또한 을시늑약이 체결됐던 덕수궁 중명전과, 아관파천의 현장인 구(舊)러시아 공사관자리에서는 가슴 아픈 역사를 되새길 수 있다.이런 정동을 배경으로 한 해설 투어 ‘다 같이 돌자 정동한바퀴’는 가족 단위 방문객의 호응 속에 진행됐다.
아이의 손을 잡고 정동을 찾은 한 시민은 “정동에는 근대 역사문화 유산이 가득해 특유의 정취가 있다”라며 “이번 축제를 통해 아이에게 역사의 현장을 보여주며 축제도 즐길 수 있어 뜻깊다”라고 말했다.
또한 역사 강사 최태성의 'NOW. from 정동', 황두진 건축사무소의 황두진 소장 특강, 주한캐나다대사관의 션 모리세이 ‘한국과 캐나다를 잇는 민속 신앙’강연, 주한영국대사관 투어 등 다양한 사전신청 프로그램이 조기 마감되며 높은 관심을 끌었다.
이번 축제가 더욱 특별한 이유는 주민들이 주체적으로 운영하는 축제로의 새로운 지평을 열었기 때문이다. 구 관계자는 “지역 축제 대부분이 주민을 수동적으로 동원하는 방식이라면, 정동야행은 주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해 축제를 만드는 주체로서 시민과 관광객을 맞이하고 있다”라며 정동야행의 특별함을 강조했다.
이틀간 축제 운영을 이끈 주민자원활동가‘야행지기’ 260여 명의 존재는 행사장 곳곳에서 빛났다. ‘야행지기’가 새겨진 보라색 티셔츠를 입은 봉사자들은 사전 안내, 스탬프 투어 운영, 시설 안내까지 정동의 거리에선 곳곳에서 밝은 모습으로 시민을 맞이했다.
야행지기로 참여한 한 주민은 “매년 방문객의 입장에서 놀러오기만 했던 정동야행을 올해는 우리 손으로 준비했다”라며 “많은 분들이 축제를 즐기는 모습을 보니 뿌듯하고, 정동야행이라는 축제가 우리 중구에 있다는 것이 정말 자랑스럽다”라고 말했다.
덕수궁 돌담길을 따라 열린 체험부스, 매시각 이어진 버스킹 공연은 정동의 분위기를 한층 고조시켰다. 대한제국 수교국의 대표 음식으로 구성한 푸드트럭의 다양한 먹거리가 축제에 활기를 더했고, 정동로터리부터 이화여고로 이어지는 길에는 수공예품이 즐비한 ‘보물 장터’가 펼쳐져 방문객들의 눈길을 사로잡았다.
중구와 자매결연을 맺은 무주군, 부안군, 여주시, 영동군, 인천 중구 대표단도 방문해 전국 최초 문화유산 야행인 ‘정동야행’을 함께 즐겼다.
김길성 중구청장은 “근대역사문화의 보고인 정동은 그 자체로 소중한 자원”이라며 “지난 일 년 간 축제 준비를 위해 협력해 주신 많은 정동의 기관과 자원봉사로 함께해 준 주민들께 감사드린다”라고 말했다. 이어 “ 앞으로도 정동야행 축제가 그 명성을 이어가도록 더욱 알차고 의미 있는 프로그램을 준비해 내년에 더 알차게 돌아오겠다”라고 포부를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