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창군 방장산 ‘산악관광 중심지’·옛)삼양염업사 ‘복합문화관광지’로 키운다

산악·레저기업 방장산에 3천억 투자계획..“전북특별자치도 특례활용으로 다양한 입지 가능”

 

전국연합뉴스 최성용 기자 | 고창군 방장산 일원이 전북특별자치도 특례를 활용한 친환경 산악관광 중심지로 뜨고 있다.

 

고창군과 전북특별자치도는 지난해 12월27일 방장산 일원을 ‘친환경 산악관광진흥지구 선도지역’으로 선정하고,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에 따라 전북특자도와 고창군은 민자유치와 방장산 산악관광지 조성 지원 등에 긴밀히 협력해 오고 있다.

 

전북특별법상 산악관광진흥지구는 관련 법령에서 정한 곳보다 높은 곳이나 경사진 곳에도 관광호텔, 리조트, 산악레포츠 시설 등이 들어설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도로 등 기반시설을 국가나 전북자치도가 설치 지원할 수 있다.

 

앞서 지난해 11월27일에는 JNICT(주), ㈜SOTO 2개의 기업이 방장산에 친환경 산악관광을 위한 3000억원 상당의 투자계획을 발표하기도 했다.

 

이들 업체는 향후 방장산 일대에 숙박, 휴양, 운동, 레저시설 등을 조성할 계획이다.

 

방장산은 지리산·무등산과 함께 호남 3대 명산으로 알려진 유서 깊은 산이다.

 

석정온천, 방장산 국립휴양림 등 인접 관광지와 함께 국내 최대 MTB 3개 코스, 6개 지정 등산로 조성 등 산림·관광자원으로 우수한 입지 조건을 갖고 있다.

 

▲구)삼양염업사 복합문화관광지로 변신한다

 

고창군 해리면 (구)삼양염업사의 역사·문화·관광거점 조성사업도 속도를 내고 있다.

 

고창군은 민간기업의 투자유치를 통해 민간의 창의성과 전문성을 살려 염업사 전시관, 염전 박물관 등 염업사의 역사를 다룬 역사문화적 공간을 조성하고, 천일염 소금을 활용한 카페, 미디어아트 전시관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심덕섭 고창군수는 “2030년 새만금 메가시티 조성과 노을개통 등으로 최근 급변하는 전북 관광 환경 변화에 따라 새로운 관광 패러다임 대응에 방장산 산악관광 진흥지구 조성이 전북도의 새로운 산악관광 중심지가 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