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건사고

"50억 클럽” 박영수 前 특검 구속 기로에... 국정농단! 특검직전 화천대유 고문료 뜯어보니!“대장동 로비의혹”두 번째,...

200억 약속받고 실제 8억 수수 검찰, 양재식 前 특검보도 함께 영장 청구

전국연합뉴스 김기술 기자 |

 

 검찰이 대장동 로비의혹을 받는 박영수 전, 특별검사에 대한 사전구속영장을 지난 26일 서울중앙지검 반부패수사1부(부장검사 엄희준)는 특정경제범죄가중처벌법상 수재 등 혐의로 박영수 전 특검에 대한 구속영장을 청구했다고 밝혔다.

 

 박 전, 특검과 양재식 전 특검보는 천하동인 4호 소유주 남욱 변호사 등 “대장동 일당”으로부터 200억원을 약속받고 3억원을 수수한 혐의를 받고 있다.  박 전, 특검은 대장동 민간사업자인 화천대유자산관리 대주주 김만배씨등으로부터 5억원을 수수하고 50억원을 약속받은 혐의로 수사 중이다.

 

 검찰 관계자는 “박 전, 특검의 경우 범행 수법과 좌질이 불량하고 중형선고가 예상되는 사안이 중대하다”고 구속영장 청구 배경을 설명했다.

 

 박 전, 특검은 우리은행 이사회 의장으로 재직하던 2014년 11월, 12월경 특근인 양재식 전, 특검보와 공모해 우리은행의 대장동 민간사업자 컨소시엄 참여 및 여신의향서 발급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대가로 200억을 받기로 하고 비슷한 시기 박 전, 특검이 2015년 1월에 치러진 대한변호사협회 회장 선거 출마를 위해 대장동 일당으로부터 3억원의 선거비용을 지원받은 정황도 검찰에 포착됐다.
 
 박 전, 특검은 우리은행의 컨소시엄 참여가 우리은행의 내규로 무산되자 같은 해 4월 여신의향서 1500억원 발급 청탁 대가로 김만배씨로부터 5억원을 받은 것으로 조사됐다. 이후 이 돈을 화천대유 증자대금으로 내고 50억원을 약속받으며 50억 클럽에 포함됐다는 것이다.
 
 검찰은 우리 은행의 컨소시엄 참여가 무산되는 등 박 전, 특검의 역할축소에 따라 대장동 일당이 건낼 뒷돈의 규모도 50억원 정도로 줄었다는 것으로 판단했다.

 

 앞서 검찰은 지난 22일 박 전, 특검을 피의자 신분으로 불러 16시간 넘게 조사했다. 검찰은 조사 당시 우리은행이 성남의 뜰 컨소시엄에서 빠지고 PF대출방침으로 선회하게 된 경위 및 그 과정에서 박 전, 특검이 우리은행 고위직들에 대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김만배씨에게 영향력을 행사해 달라고 부탁을 받았는지 대해 집중 추궁한 걸로 알려줬다.

 

 검찰은 또 박 전, 특검이 화천대유고문으로 지낼 당시 받은 금여 2억 5500원과 딸이 재직중이던 화천대유에서 빌린 11억이 그가 받기로 한 50억원 중 일부인지도 수사 중이다. 

 

 박 전, 특검과 공범으로 지목된 양재식 변호사(전 특검보)도 이날 같은 혐의로 구속영장이 청구됐다. 검찰은 지난 12일 양변호사를 조사한데 이어 지난 20일에도 재차 소환 조사한 바 있다. 양변호사는 박 전, 특검을 위해 대장동 개발 비리 과정에서 회의 참여등 실무를 담당한 혐의로 두고, 양변호사가 적극적으로 이익제공을 요구하는 등 범죄 실행 부분에서 핵심역할을 담당했다고 보고 있다.

 

 이어 검찰은 50억을 약속받은 박전, 특검이 인척이자 분양대행업체 대표인 이씨로부터 5억을 받아 김만배씨에게 전달한 것도 일종의 “담보장치”로 보고 있다.

 

 화천대유의 자본금 증자에 참여한 후 50억을 돌려받는 형식을 택했다는 것이다. 검찰은 박 전, 특검의 신병을 확보하는대로 약속받은 50억원에 화천대유로부터 박전, 특검의 딸이 받은 특혜성 수익 25억이 포함되었는지 등을 규명할 방침이다. 이에 대해 박전, 특검 측은 “대출의향서 발급과 관련해 어떤 청탁도 한 사실이 없다”는 등 혐의를 전면 부인하는 입장인 것으로 알려졌다.